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게시판

자유게시판

No. 1082

아틸라와 광개토대왕
작성자 :
배달인  (IP :211.207.177.239)
적성일 :
2003-12-28
조회수 :
2553

아틸라와 광개토대왕


고대 유럽 호령한 훈족 수장 아틸라는 한민족
유물·유적 통해 추적해본 한민족의 뿌리

독일TV ZDF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스핑크스, 역사의 비밀’ 중 ‘잃어버린 고리 찾기’ 편은 375년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을 촉발해 로마제국을 멸망시킨 아시아 유목민족 훈족을 집중적으로 추적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훈족의 원류가 아시아 최동단, 즉 한국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실제 신라 및 가야인과 훈족의 유물, 유적 등을 비교해보면 편두(扁頭, 일명 납작머리)와 금관 머리장식 등 여러 가지 공통점이 발견된다.



김진삼 회백이 동양적 외모를 살려 그린 아틸라 초상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당나라를 끌어들였다는 점은 우리의 과거사에서 가장 아쉬운 대목 중 하나다. 통일에 외세를 개입시킨 나쁜 선례를 남긴 데다, 고구려의 광대한 영토를 당나라에 모두 빼앗겼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이 좋아 통일이지, ‘빛 좋은 개살구’에 지나지 않았다는 비아냥도 나온다.

아시아 동북부 일원에서 고구려가 막강한 중국에 맞서 수백 년간 영토를 확장하며 위세를 떨쳤기 때문일까. 한국 사람들은 멸망한 대국, 고구려에 강한 매력을 느낀다. 고구려는 지리적 여건이 불리했음에도 한때 한민족 사상 가장 광대한 영토를 확보했다. 광개토대왕(375∼413) 재위 당시 고구려 영토는 서쪽으로는 요하, 북쪽으로는 개원, 동쪽으로는 옥저와 예, 그리고 남쪽으로는 한강 유역에 이르렀다.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광개토대왕과 장수왕(413∼491) 시대에 고구려가 고조선이 차지했던 영토를 거의 모두 되찾은 것으로 추정한다.

현대의 과학문명은 유럽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원전 500년경 그리스에 이어 로마가 정치적, 군사적으로 ‘세계의 중심’이 된 이후, 세계 역사는 유럽 중심으로 흘러왔다. 로마가 유럽을 지배하던 시대에 몇몇 아시아 민족이 유럽에 진출하긴 했지만, 로마를 완전히 정복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러나 로마를 멸망시킨 세력은 다름아닌 아시아 민족인 훈족(Huns). 서기 375년, 기마 민족인 훈족이 볼가강을 건너와 게르만족의 한 갈래인 동고트를 공격했고, 동고트는 서고트를 공격했다. 이에 서고트는 로마제국의 영토로 들어가 보호를 요청했다.

게르만족이 로마 영토에서 살게 된 지 100년 후인 476년, 서로마제국은 결국 게르만족의 수장(首長) 오도아케르에 의해 멸망한다. 이후 게르만족이 서유럽과 아프리카 북부 등 여러 지역으로 갈라지면서 유럽에는 새 국경이 그어졌다. 이때 성립된 국경은 대부분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훈족은 한민족의 일파


그런데 최근 서유럽에서 게르만족의 이동을 촉발시키고 로마제국을 풍전등화의 운명속으로 몰아넣은 주인공인 훈족이 실은 한민족의 일파임이 세계 각지에서 발굴된 유물과 사료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놀라운 역사적 주장에 흥미를 갖는 사람도 많지만, ‘무슨 얼토당토 않은 소리냐’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적지 않다. 훈족이란 이름 자체가 우리에게 생소할 뿐더러, 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서기 4∼5세기경 한반도에 살고 있던 한민족이 어떻게 유럽을 공격할 수 있었겠느냐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훈족이 한민족의 일파라는 역사적 주장이 곧 한민족이 유럽을 직접 공격했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훈족은 흉노(匈奴, 북방 기마 민족을 통칭한다)의 한 분파로,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약 700년간 중원 지역을 놓고 중국과 각축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흉노는 끊임없이 부침을 거듭했다. 이때 흉노에 속해 있던 한민족 원류 중 일부가 서쪽으로 진출하면서 훈족으로 성장했고, 또 한 부류는 한반도 남부지역까지 진출해 현재의 한민족의 일부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다음과 같은 점을 근거로 하고 있다.

프랑스 등 서유럽에 살고 있는 훈족의 후예들에게서 몽골반점이 발견되고 있다. 몽골반점은 꼬리뼈 높이의 엉덩이에 나타나는 색소 변색으로 유전학적으로 몽골계통의 민족에게서 나타나는 신체적 특징이다. 몽골반점이 한민족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은 아니지만, 훈족 후예들이 몽골반점을 갖고 태어난다는 점을 미루어볼 때 한민족과 훈족은 친척의 인연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훈족은 그들 특유의 예맥각궁(濊貊角弓)을 사용했다. 예맥각궁은 만드는 데만 5년, 제대로 쏘기 위해 활을 익히는 데만 10년이 걸리지만, 1분 안에 15발 이상 쏠 수 있다고 알려진 활이다. 훈족이 예맥각궁을 사용했다는 것은 이탈리아 북부 지역인 아퀼레이아에 자리한 크리프다 아프레시 교회의 프레스코화가 말해준다.

(계속)http://www.donga.com/docs/magazine/shin/2003/10/28/200310280500015/200310280500015_1.html



댓글남기기
글자수는 125자로 제한되며, 욕설, 비방 글은 삭제됩니다.

이름 :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댓글 내용입력

Page : 120 / 18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Re: Re: Re: 근대사 공부를 한번...   [0]    김종욱 2004-01-02 2197
  마지막 답변입니다.   [0]    개량주의자 2004-01-03 2125
  Re: 마지막 답변입니다.   [0]    김종욱 2004-01-04 1999
  대적할 가치도 없는데... 괜히 시간만 ...   [0]    개량주의자 2004-01-04 1979
  Re: 대적할 가치도 없는데... 괜히 ...   [0]    김종욱 2004-01-04 2134
  이 글은 안 보시거 같해서   [0]    개량주의자 2004-01-04 2150
  Re: 이 글은 안 보시거 같해서   [0]    김종욱 2004-01-04 2079
1086 중국. 고구려 유적답사 불허   [0]    고려 2003-12-31 2231
1084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저지운동 본격화   [0]    다물 2003-12-29 2203
1083 회원 여러분께   [0]    관중 2003-12-29 2231
아틸라와 광개토대왕   [0]    배달인 2003-12-28 2553
1080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총선과 연결시켜야...   [0]    다물 2003-12-28 2132
  Re: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총선과 연...   [0]    김종욱 2004-01-03 1985
1079 古土工程 우리의 지상 과제이며 기회이다.   [0]    이개춘 2003-12-28 2231
  어부지리   [0]    제숙 2005-04-10 1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