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게시판

자유게시판

No. 1095

Re: 질문이요~
작성자 :
관중  (IP :61.42.227.52 )
적성일 :
2004-01-02
조회수 :
2079

갑신년 새해엔 소망한 모든일들이 이루어지시길 빕니다.

우리 한민족사나 나라의 역사를 보면 우리가 단순이 생각하는 전권 이양이 아닙니다.

왕씨고려에서 부자간의 황제간의 물림이나 이씨왕조의 부자세습이 아닌 말그대로 정복과 정복의 역사입니다.

즉 힘의 논리라는 것입니다.
가령 신라의 백혁거세의 중심의 왕조가 석탈해로 또 김알치로 넘어가는 과정을 우리는 단순이 박.석.김이 돌아가면서 통치했다고 배워왔습니다.
그러나 역사를 자세히 보면 강력한 세력이 들어와 왕권을 찬탈하고 자신의 왕권을 세운것으로 봅니다.

우리 한민족는 바로 이러한 형태에서 이루어져 왔습니다.
부권으로 이루어진 왕권보다는 모권사회에서 강력한 힘의 논리가 지배 했다고 보아집니다.

기마민족의 특성상 그렇게 보아집니다.
바로 활이란 통치의 상징이자 힘의 상징입니자.
또우리 민족의 상징인 논리로서 바로 통치의 수단이자 힘의 공동체의 표시라 보시면 딥니다.

역사를 그시대 의 상황과 그시대를 이해하는 척도로 보아야 합니다.
단순이 오늘날의 논리로 보시면 큰 함정에 빠져들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김대문이 [화랑세기]를 보시면 신라의 한 사회적 면를 적나리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유교적인 관습에서 보시면 절대로 용납할수없는 사황이죠. 이러한 모든것은 역사의 단면을 보고 모든것을 결정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아무튼 한단면에 너무집착하면 포괄적인것을 보지 못하는 실수를 가져올수 있다는 것입니다. 크게 또, 포괄적으로 또는 행간속의 의미를 보는 지혜로 우리 역사를 접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관중









>공자연의-정인보선생님께서 쓰신건가 그렇던데... 라는 책에서 보면
>
>제후한테 상으로 활(궁)을 내렸다고 하더라구요.
>
>활이라는 무기는 오래전서부터 사용되어져 와서 별로 특별할게 없을거 같은데... 왜 활로 내린거죠?
>
>만약 상징적인 의미로 그랬다면 왜 하필 활이었을까요?
>
>그리고 학교에서 배우기를 신라의 삼국통일은 지배층만을 포용했다고 하더라구요.
>
>만약 그렇다면 나당전쟁때 뭔가 일을 냈을거 같은데,,,
>
>삼한이라는 생각때문에 괜찮은 건가요?
>
>그리고 마지막으로요, 작가 김정산이 쓴 삼한지라는 소설에서 보면,
>
>요동 7성이 학익진이고 또 뒤에 무슨 성을 활용하면 물고기 비늘 어쩌구 하던데, 사실인가요?
>
>저는 학익진을 충무공께서 처음 만들었다고 알았었거든요...^^;;
>
>어쨌든 답변을 기다릴께요... 그럼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댓글남기기
글자수는 125자로 제한되며, 욕설, 비방 글은 삭제됩니다.

이름 :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댓글 내용입력

Page : 119 / 18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08 울지문덕장군 민족사관고 학생들과 중국대사...   [0]    깃발도사 2004-01-04 2153
1099 우리에게 상고사는 무엇일까요?   [0]    이지훈 2004-01-03 2060
  Re: 우리에게 상고사는 무엇일까요?   [0]    김종욱 2004-01-03 1905
1094 질문이요~   [0]    이대용 2004-01-02 1958
Re: 질문이요~   [0]    관중 2004-01-02 2079
  추가 질문이요.   [0]    이대용 2004-01-02 1970
  Re: 추가 질문이요.   [0]    관중 2004-01-03 1791
1093 개화기이후....근현대사1세기중에서...   [0]    김영현 2004-01-02 1823
1092 송구영신,원단축원   [0]    安原田 2004-01-01 1886
1087 새해 인사   [0]    김종욱 2004-01-01 1823
  저도 답답합니다.   [0]    개량주의자 2004-01-01 1869
  Re: 저도 답답합니다.   [0]    김종욱 2004-01-01 1849
  근대사 공부를 한번 해 보시죠.   [0]    개량주의자 2004-01-01 2082
  Re: 근대사 공부를 한번 해 보시죠.   [0]    김종욱 2004-01-01 2117
  Re: Re: 근대사 공부를 한번 해 보...   [0]    개랑주의자 2004-01-02 1914